학력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1991. 학사
Indiana University. 2003. M. A.
Indiana University. 2007. Ph. D.
강의과목
영상서사기초
Understanding Media Contents
공감커뮤니케이션
주요경력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장
경기도 도정홍보콘텐츠 평가위원(2020)
중앙대학교 언론고시반, <언필제> 지도교수(2020)
롯데홈쇼핑 시청자위원(2020)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공모전 심사위원(2020)
국방부 6.25. 70주년 공모전 심사위원(2020)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심사위원(2019)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대상 심사위원장(2019)
한국언론학회 기획이사(2018)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조직위원장(2018)
ICT 기금사업심의위원(2018)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심사위원(2017)
케이블 TV 방송협회 우수프로그램 심사위원(2014)
교통방송 시민편성자문단 위원(2014)
학국언론학회 인터랙션연구회장(2014)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2013)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2010)
언론정보학보 편집위원(2010)
한국전파진흥원 위탁연구과제 심의위원(2010)
기독교 텔레비전(KCTS) 제작팀장(1996)
교육방송(EBS) PD(1992)
방송위원회 TV 심의부(1991)
수상
Top student paper, Information System Divisio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Lee, S., & Park, B. (2006). Effects of Motivational Activation on Processing Positive and Negative Content in Pop-up Advertisements
Top paper, Media and Disability Interest Group,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Shin, M., Lee, S., & Lang, A. (2003). Don't label me: The stigmatizing portrayal of mental illness on U.S. television.
주요 연구논문 및 저서
박민진·이승조 (2021). 장기기증 메시지의 효과 구현에 호혜적/공감적 소구와 사회적 유대감이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35권 5호, 76-111.
김유리·이승조 (2021). 국제구호 캠페인의 효과에 구현된 형식과 내용의 상호작용: 프레이밍과 심각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5권 4호, 46-77.
안혜영·이승조 (2020). 결식아동 돕기를 촉구하는 메시지에서 나타나는 이익/손실 프레이밍의 상대적 설득 효과. <한국방송학보>, 34권 5호, 78-107.
송원섭·이승조 (2019). 이익/손실 프레이밍과 사전 태도가 상호작용하여 국제구호 메시지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권 9호, 501-511.
유준영·이승조 (2019). 군조직에서 하급자가 인지하는 직속상관의 공감성향이 자발적 명령순응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 조직신뢰, 직무만족의 다중매개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9권 2호, 38-69.
이승조·김현선 (2018). 기부 메시지의 효과 구현에서 언어 프레이밍, 이미지 극성과 공감적 성향의 상호작용에 관한 탐구. <한국방송학보>, 32권 6호, 94-123.
심동·이승조 (2017). 한· 중· 일 상호 문화의 차이에 대한 드라마 가족서사분석-< 꽃보다 남자> 의 재제작 판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3권 5호, 415-437.
이한규·이승조 (2017). 기부 메시지의 전달에서 죄책감 수준과 수용자의 보살핌 원칙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장애인 돕기 캠페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1권 5호, 160-188.
Lee, S., & Cho, J. (2017). Interactive effects of dispositional empathic concern and message framing on international relief campaign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5(8), 1281-1292.
유주희·이승조 (2017). 국제기아 돕기 캠페인의 전달에서 수용자의 이타적 성향, 메시지 프레이밍, 유명 옹호인의 속성이 메시지 태도와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3권 3호, 1-22.
이승조 (2017). 마약퇴치 광고의 표적 집단 활용을 위한 동기 활성화의 타당도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권 8호, 301-311.
이승조 (2017). 이타적 성향과 긍·부정 프레이밍이 국제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의 매개 역할 검증과 함께.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권 7호, 332-343.
이승조 (2017). 국제구호 캠페인의 전달에서 보상 유형과 이타적 성향 (공감적 관심) 이 만족감, 저항,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1권 2호, 251-276.
이승조 (2017).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서 이성적 소구의 활용을 위한 제언: 호혜적/공감적 소구의 대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13권 1호, 5-43.
이승조 (2016). 메시지 프레이밍과 유명인 옹호가 국제기아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30권 6호, 79-107.
조성희·이승조 (2016). 금연 메시지의 전달에서 프레이밍, 이미지 극성, 주제 관여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2권 4호, 21-39.
김성학·이승조 (2016). 자존감과 보상 유형의 상호작용이 국제구호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9호, 638-648.
김봉근·이승조 (2016). 유머 영상의 시청이 정적/동적으로 프레이밍된 후속 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15권 2호, 111-136.
조선아·이승조 (2016). 폭력적 영상의 시청이 동· 정적으로 유형화된 인접 광고의 기억, 광고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30권 3호, 113-142.
이승조 (2016). 호혜적/공감적 소구 유형과 장애인 태도의 상호작용에 따른 돕기 메시지 수용 효과의 차이. <한국소통학보>, 15권 1호, 139-169.
손민정·이승조 (2016). 국제기아 돕기 메시지의 전달에서 죄책감의 효과 발현을 매개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6권 1호, 96-122.
이승조·김봉근 (2016). 장애인 돕기 메시지에 대한 반응에 호혜적/공감적 소구와 이타적 성향 (공감적 관심/관점 수용) 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60권 1호, 293-315.
이승조 (2016). 성별과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에 따른 돕기 캠페인 수용 태도의 차이. <미디어 경제와 문화>, 14권 1호, 124-156.
이승조·이한규 (2015). 죄책감 소구 수준과 개인성향의 상호작용이국제기아 돕기 메시지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18권 3호, 49-62.
Lang, A., Gao, Y., Potter, R. F., Lee, S., Park, B., & Bailey, R. L. (2015). Conceptualizing audio message complexity as available processing resources. Communication Research, 42(6), 759-778.
이승조 (2015).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과 성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9권 3호, 70-100.
김인성·이승조 (2015). 교육적 오락물의 설득효과 감소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설득지식과 사전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9호, 7-29.
송학림·이승조 (2015). 설득지식과 방송 프로그램의 정서적 맥락이 PPL 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9권 1호, 93-116.
이승조·정다운 (2014). 돕기 캠페인에서 공감적 관심과 소구 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감성과학>, 17권 2호, 25-34.
백혜림·이승조 (2014). 사전 태도와 이성적/감성적 소구 유형이 장애인 돕기 캠페인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4권 2호, 157-183.
이승조 (2013). 개인 성향으로서의 자존감과 긍·부정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이 국제 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7권 5호, 56-77.
이승조·김지은·김인성 (2013). FPS 비디오 게임에서 기본 정서를 경험하는 상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8권 2호, 38-76.
Cho, H., Lee, J. S., & Lee, S. (2013). Optimistic bias about H1N1 flu: Testing the links between risk communication, optimistic bias, and self-protection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8(2), 146-158.
이승조·박병호 (2012). Effects of motivational activation on processing positive and negative content in Internet advertisements. <감성과학>, 15권 4호, 517-526.
이승조·백혜림 (2011). 기아 돕기 캠페인에서 공감적 관심과 긍ㆍ부정 프레이밍이 미치는 영향: 예기된 정서와 행위 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6호, 156-174.
이승조·최남도 (2011). 관점 수용과 긍ㆍ부정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이 국제 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권 3호, 153-178.
이승조·심은정 (2010).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화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한국언론학보>, 54권 4호, 327-349.
이승조·연보영·구세희 (2010). 국제 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긍·부정 프레이밍과 관여도의 영향. <감성과학>, 13권 1호, 147-162.
이승조 (2009). 영상물 시청에 발현된 감성 유인가의 차별적 영향과 편집속도와의 상호작용. <감성과학>, 12권 1호, 33-44.
이승조·최남도 (2009). 기본 정서를 유도하는 영상의 선정과 정서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탐구. <한국방송학보>, 23권 3호, 205-245.
Lee, S., & Lang, A. (2009). Discrete emotion and motivation: Relative activation in the appetitive and aversive motivational system. Media Psychology, 12(1), 148-170.
이승조(2009). 영상물 시청에 발현된 감성 유인가의 차별적 영향과 편집속도와의 상호작용.<감성과학>, 12권 1호, 33-44.
이승조 (2008). 정보처리과정에 구현된 감각추구성향과 슬로모션의 상호작용: 생리적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권 3호, 322-345.
이승조·Annie Lang (2008). 방송 영상물에 사용된 슬로모션이 수용자의 인지적, 정서적 반응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2권 4호, 237-276.
Wise, K., Lee, S., & Lang, A., Fox, J. R., & Grabe, E. (2008). Responding to change on TV: How viewer-controlled changes in content differ from programmed changes in cont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2(2), 182-199.
Chock, T. M., Fox, J. R., Angelini, J. R., Lee, S., & Lang, A. (2007). Pacing and arousing content effects on personal impact, third person effects, and reverse third person effects of anti-smoking PSAs for smokers and non-smokers. Communication Research. 34(6), 618-636.
Lang, A., Schwartz, N. C., Lee, S., & Angelini, J. R. (2007). Processing radio PSAs: Production pacing, arousal, and ag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 581-599.
Lang, A., Shin, M., Bradley, S. D., Wang, Z., Lee, S., & Potter, D. (2005). Wait! Don’t turn that dial! More excitement to come! The effects of story length and production pacing in local television news on channel changing behavi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a free choice environm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1), 3-22.